JIRA & SLACK & Github 연동
Orgazination Company
1. 프로젝트 생성
- “Create Project” 를 선택하여 프로젝트 생성


- “Software development” => “Scrum” 선택하여 프로젝트 생성

- Use Template => “Select a Team-managed project”

- Name : 프로젝트 명
- Access : Limited
- Key : 자동으로 설정 되나 보통 “프로젝트의 약자”
- ex. “Convenience Sort” => “CS”
- ex. “Convenience Sort” => “CS”
2. Third Party Tool 연결

- Github : “Connect Repository” 선택하여 프로젝트 Repo 연결
- Confluence : “해당 프로젝트 페이지 연결” (옵션사양)
3. 프로젝트 세팅
- “Project Setting”
- Name : 프로젝트 Name
- Key : 프로젝트 Unique Key
- Project Lead : 프로젝트 담당자
- Default Assignee : 초대 된 다른 사용자의 기본 권한
- Project Lead : 프로젝트 리더
- Unassigned : 할당하지 않음 *
| 프로젝트세팅 | 디테일 | Access |
|---|---|---|
![]() |
![]() |
![]() |
- “Add People” => 해당 프로젝트 맴버 E-mail 추가 (여러계정 복수 초대 가능)
- “Role” => 초대하는 맴버의 권한 설정
- Administrator : 프로젝트 관리자 (설정 변경의 권한)
- Member : 기본 사용자 (기본적인 Read / Write)
- Viewer : Only Read
| 기본 초대 폼 | 초대 시 |
|---|---|
![]() |
![]() |

3. Slack 연결
- “Add new connection”
- Workspace : Slack 연결
- Channel : 해당 슬랙 채널 연결
- ex. 편의점 정리왕 => # dev02-편의점정리왕
- Connect Project


4. Github 연동
Github 사용자 설정
- Github Profile => Setting => “Public email” => “본인 계정 선택”
| Git User Option | User Setting |
|---|---|
![]() |
![]() |
Repo 관리자
- Slack Channel 입장
- 채널 채팅에 해당 커맨드 입력
- /github subscribe ActionFitGames/프로젝트 레포지토리 이름
- ex. 편의점 정리왕 : /github subscribe ActionFitGames/Convenience_Sort


- 처음 해당 Repository를 구독하면 알림이 실행되는 옵션
- Issues
- pulls
- commits
- releases
- deployments
- 필요없는 기능에 대한 구독 해제
- /github unsubscribe ActionFitGames/프로젝트 레포지토리 이름 명령어
- ex. 편의점 정리왕 프로젝트의 “commit”알림 구독 해제
- /github unsubscribe ActionFitGames/Convenience_Sort commits
- Unsubscribe Options
- commits
- releases
- deployments

Sprint 설정
- Jira Project 설정

- “Edit sprint” 선택

- Sprint Setting
- Sprint name : 스프린트의 이름
- Duration : 스프린트 기간
- 스프린트 기간은 다음 업데이트 기준으로 설정 (“Custom”)
- 스테이지 업데이트의 경우에도 중간에 이런저런 버그 및 수정 사항이 있기때문
- Start Date : 해당 업무를 받은 날짜
- End Date : 해당 업무 마감 날짜
- Sprint Goal : 해당 스프린트가 달성 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변경사항

-
Sprint 적용 후

-
Issue 생성
- Jira의 경우 “Issue” 단위로 프로젝트를 관리
- Issue 생성시 “{ProjectKey}-{Issue Count}” 단위로 이슈 번호 생성 Issue Count의 경우 자동으로 순서대로 할 당 하며 해당 이슈를 삭제하여도 다음 순서로 넘어감
- Sprint 생성 후 최소 1개 이상의 Issue 가 있어야 Sprint 를 실행 할 수 있음
\
- Issue 생성 후 Board Tab을 확인하여 프로젝트 이슈 확인
- 최초 Issue 생성 후 “+ Create Issue” 로 Issue 생성 가능
- 최초 Issue 생성 후 “+ Create Issue” 로 Issue 생성 가능
- Issue 가 생성되면 앞에서 연결 한 Slack에 해당 Issue 알림이 도착
Issue 관리
- Issue를 선택하여 해당 Issue에 관한 설명 및 기타 설정 기능을 관리

| Issue View | Issue DESC |
|---|---|
![]() |
|
Create Branch

-
Branch name : {Project Key}-{issue Number}-{Bracn Name} 🔴 “Project Key” , “Issue Number” 는 수정 하면 안됩니다. 해당 Key를 가지고 Brach를 구분하는 System
-
해당 Branch가 Git에 생성 됨

Commit
- Create Commit 시에는 “Issue Key”를 사용하여 Commit 진행
![[Screenshot 2024-08-18 at 5.10.55 PM.jpg]]
- Terminal 및 Desktop 에서 커밋 시


Issue Progress
- Issue를 커밋하고 나면 해당 버그 테스트를 위해 QA 또는 만들어 둔 Progress로 해당 Issue Tab으로 이동

- QA에서 이상이 있다면 QA 팀은 해당 이슈에 “Add” 로 영상 및 Image 업로드 가능
-
Desc를 작성하여 개발자에게 알림

-
Debug Tab으로 이동

- 문제가 없다면 “DONE” 탭으로 이동하여 해당 Issue를 종료 합니다.








